재테크/공모주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공모주 투자 완벽 가이드

PLAN B+ 2025. 1. 31.
728x90
반응형

 

공모주 청약이 트렌드였던 시절인 2020년대 초반, 많은 투자자들이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몰리던 때였습니다. 당시 기업들이 상장하면서 주식 시장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공모주 청약은 빠르게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인기 있는 투자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작년까지는 공모주 청약의 분위기가 좋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재테크 방법이니 미리 공부를 해놓아야겠죠?

 

1. 공모주란 무엇일까요?

쉽게 설명하면, 기업이 처음으로 일반 투자자들에게 주식을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삼성전자나 현대차처럼 이미 상장된 기업의 주식이 아닌, 이제 막 주식시장에 입성하는 기업의 첫 주식이 바로 '공모주'입니다.

 

2. 공모주 청약은 어떻게 하나요?

  1. 먼저 증권계좌를 만듭니다 (주관사 증권사면 더 좋아요!)
  2. 청약 시작일에 증권사 앱이나 홈페이지에서 '공모주 청약' 메뉴로 들어갑니다
  3. 원하는 공모주를 선택하고 수량을 입력합니다
  4. 청약 증거금을 입금하고 신청 완료!

- 공모주마다 주관사가 다르기 때문에 미리 증권계좌를 만들어 놓는 것이 좋습니다.(한 번 개설 후에는 20일 동안 개설이 안되니 미리미리!) 그리고 주관사가 여러 증권사일 경우 증권사 별로 경쟁률이 다르기 때문에 많은 공모주를 배정받기 위해선 좋겠죠?

 

3. 꼭 알아야 할 공모주 용어

복잡한 용어들이 많아 보이지만, 실제로 알아야 할 핵심 용어들은 많지 않습니다!

  • 공모가: 기업이 정한 공모주의 판매 가격입니다. 예를 들어 공모가가 5만원이면, 한 주당 5만원에 살 수 있습니다.
  • 주관사: 공모주 판매를 도와주는 증권회사예요. 예를 들어 미래에셋증권이 주관사라면, 미래에셋증권 계좌로 청약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청약 증거금: 공모주를 신청할 때 미리 내야 하는 돈입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어치를 신청하려면, 보통 그 절반인 50만원 정도를 미리 내야 합니다.
  • 균등배정: 신청한 모든 사람에게 똑같은 수량을 나눠주는 방식
  • 비례배정: 신청한 수량에 비례해서 주식을 나눠주는 방식

- 비례배정은 대형 투자자에게 유리, 균등배정은 소액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

 

4. 2020년부터 2024년까지 공모주 시장 흐름

- 2020-2021년은 카카오뱅크, 크래프톤, SK바이오사이언스 같은 대형 공모주들이 연달아 상장하며 공모주 시장의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특히 이 시기에는 높은 청약경쟁률과 상장 후 수익률을 기록했죠. 2022년에는 글로벌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로 공모주 시장이 크게 위축되었고, 2023년에는 반도체, 2차 전지 관련 기업들의 상장으로 점차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는 상장 첫날 300% 까지 상승한 종목 2개, 200%대는 부지기수였고, 100%대는 아쉬울 정도로 뜨거웠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에는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는 종목들이 하나씩 나오기 시작했고, 11월에는 상장 종목 14개 중에 9개가 시초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하였습니다.

 

5. 앞으로 공모주 투자가 괜찮을까?

 

- 공모주 투자는 주식 시장에 처음 상장하는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빠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최근 공모주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과거처럼 무조건적인 수익을 기대하기보다는, 기업의 성장성과 재무상태를 꼼꼼히 따져보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시장 상황과 기업 가치를 고려한 선별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엔 좋은 공모주 찾는 방법공모주 투자 전략,  그리고 향후 공모주 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