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코인

파이코인, 상장 후 변동성 큰 코인들! 급등과 급락의 차이점

PLAN B+ 2025. 2. 21.
728x90
반응형

 

파이코인(PiCoin)은 2019년에 등장한 이후, 그 독특한 채굴 방식과 발전 가능성으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특히 2025년 2월 20일, 그간 예상되었던 대로 상장하면서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상장 전부터 "7000달러"라는 예측도 있을 정도로 기대감이 고조되었지만, 실제 상장 가격은 2달러로 시작되었고, 현재는 0.8달러로 기대에 못 미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른 코인들의 급등과 급락 그리고 반등 사례를 살펴보고, 상장했던 코인들이 시세가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보고 파이코인의 시세도 예측해 봅시다!

 

1. 루나(LUNA) - 급락의 대표 사례

 

루나(LUNA)는 한때 시가총액 200억 달러를 넘으며 큰 인기를 끌었으나,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UST)와의 연결로 급락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상승 당시 루나는 테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빠르게 상승했지만, 테라(UST)의 가치 급락이 루나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2022년 5월, 테라(UST)가 달러와의 연동을 잃고 가치가 급락하면서 루나 역시 99% 이상 하락해 많은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입었습니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구조적 문제를 명확히 보여준 루나 사태!

 

2. 미스릴(MITH) - 급락 사례

 

미스릴(MITH)은 2018년 4월, 빗썸에 상장되며 115배 급등을 기록했지만, 이후 급격한 하락을 겪었습니다.

 

상장 직후 미스릴은 콘텐츠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주목받으며 가격이 급등했으나, 빗썸 상장 초기 몇 시간 동안 115배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급격한 상승 후 가격은 빠르게 하락했고, 단기 과열 현상으로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겼습니다.

 

거래소 내부 정보로 상장 일자를 미리 알게 된 사람들에 의한 미스릴 사태, 코인 구조적으로 막을 수 없었다.

 

3. 도지코인(DOGE)와 트럼프 코인(DJT) - 유명인사의 발언으로 급등

 

도지코인(DOGE)은 원래 밈코인으로 시작했지만, 2021년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트윗으로 급등했습니다. "도지"라는 단어 한 마디로 도지코인은 단기간에 2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급등 후 다시 하락세로 돌아서면서, 가격은 안정되지 않고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마찬가지로, 트럼프 코인(DJT)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이름을 딴 밈코인으로, 그의 정치적 발언이 나오자 급등을 경험했습니다. 유명인사의 발언은 그 코인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급증시키고, 그만큼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4. 페페코인(PEPE) - 밈코인으로 급등

페페코인(PEPE)은 2023년 4월에 출시된 후, 불과 한 달 만에 7,000% 상승하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페페코인은 유명한 만화 캐릭터인 페페 더 프로그에서 영감을 받은 밈코인으로, 바이낸스와 같은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면서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그러나 이 역시 밈코인의 특성상 시장의 과열과 투자자들의 지나치게 높은 기대감으로 인해,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5. 파이코인의 시세 예측

신규 상장 코인들의 모습들은 보통 상장 직후 급격한 상승 후 급락하는 경향을 많이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파이 코인처럼 상장 당일 하락한 코인들은 어떠한 모습을 보여주었을까요??

 

1) 기술적 발전에 따른 반등 가능성

하락한 코인들은 기술적 문제 해결이나 주요 업데이트로 반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이다(Cardano)**와 **폴카닷(Polkadot)**은 초기 하락 후 기술 혁신을 통해 회복했으며, **체인링크(Chainlink)**는 실용성 확대에 따라 가치를 회복했습니다.

2) 커뮤니티와 신뢰에 따른 상승 가능성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과 파트너십은 가격 상승을 이끌 수 있습니다. **리플(XRP)**은 여러 금융기관과의 파트너십으로 가치를 올렸으며, 커뮤니티의 활발한 지지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 프로젝트 실패 및 상장폐지 가능성

기술적 결함이나 지속적인 개발 부족으로 하락한 코인들은 상장폐지되거나 시장에서 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골드(Bitcoin Gold)**와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는 비트코인과의 차별화 부족으로 하락했습니다.

4) 밈코인의 특성

밈코인들은 급등과 급락을 반복하며 지속 가능한 가치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도지코인(DOGE)**와 **쉐버인(Shiba Inu)**는 유명인의 언급이나 마케팅으로 급등했지만, 불확실한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큽니다.

 

파이코인(PiCoin)은 기술적 발전커뮤니티의 지원에 따라 상장 후 반등 가능성이 있는 코인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밈코인 특성도 가지므로 급등과 급락을 반복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기술적 가치시장 신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파이코인이 기술적 문제 해결과 시장에 실용성 있는 가치를 입증할 수 있다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상승세를 탈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

💲 추천 글